본문 바로가기
우주공학

지구를 떠난다는 건 어떤 기분일까? 우주비행사의 심리일기 속으로

by storybuja1 2025. 7. 14.

“우주는 놀라운 과학의 공간인 동시에,
인간의 감정이 드러나는 가장 고요한 무대이기도 합니다.”

🌌 서문 – 지구를 떠난다는 일의 무게

우주를 향한 여정은 수많은 훈련과 기술, 신체적인 준비로 이루어집니다.
그러나 ‘지구를 떠난다’는 그 행위가 인간에게 주는 심리적 충격은
쉽게 수치화하거나 가르칠 수 있는 영역이 아닙니다.

이 글에서는 실제 우주비행사들의 경험과 NASA 및 ESA 등에서 수집된 심리 연구를 토대로,
우주라는 극한 환경 속에서 사람이 ‘어떻게 존재를 유지하는가’에 대해 조용히 되짚어보려 합니다.

👩‍🚀 1. 고립과 단절, 그리고 감정의 흐름

우주는 본질적으로 고립된 공간입니다.
국제우주정거장(ISS)이라는 공간은 지구로부터 약 400km 떨어져 있고,
매일 16번 해가 뜨고 지는 환경에서 인간은 생체리듬조차 자연스럽게 유지하기 어렵습니다.

미항공우주국(NASA)의 자료에 따르면,
우주비행사의 약 30% 이상이 우울감, 감정 기복, 자기 존재에 대한 의문을 경험한다고 보고되어 있습니다.
그들은 때때로 이런 문장을 남깁니다.

“지구는 아름다웠지만, 그 아름다움은 닿을 수 없는 거리였습니다.”

📡 2. 심리적 거리, 기술로는 다 채울 수 없는 간극

우주에서 지구와의 연결은 통신 위성을 통해 가능합니다.
그러나 인간이 느끼는 ‘연결감’은 단순한 데이터 송수신으로는 충족되지 않습니다.
그래서 NASA는 **심리적 거리(psychological distance)**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.

  • 주기적인 가족 영상편지 송출
  • 지구의 바람 소리나 파도 소리를 틀어주는 환경음 지원
  • AI 비서(CIMON, Alexa 등)와의 간단한 대화 시뮬레이션

이 모든 시도는 우주 속의 인간이 인간다움을 잃지 않도록 돕기 위한 조치들입니다.

📝 3. 심리 일기, 그 속에 담긴 우주의 진실

많은 우주비행사들이 우주 임무 동안 개인적인 일기를 작성합니다.
이 일기들은 단순한 감정 정리의 도구를 넘어,
우주환경에서의 감정과 정신 상태를 관찰하는 중요한 자료로 사용됩니다.

한 유럽우주국(ESA) 소속 비행사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습니다.

“오늘은 북극 위를 지났다.

하얗게 얼어붙은 그곳에서, 이상하게도 지구의 온기를 느꼈다.”

이러한 문장은 단순한 우주 실험 보고서보다,
훨씬 더 깊고 진실된 감정의 기록이자, 인간 존재의 증거라고 생각됩니다.

🌱 마무리하며

우주에서 살아남는다는 것은
산소를 유지하는 것뿐만이 아니라,
감정을 지키고 인간다움을 잃지 않는 일이기도 합니다.

저는 오늘 이 글을 쓰며,
‘우주공학을 공부하는 일’이 단순한 기술 축적이 아니라
인간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여정임을 새삼 느낍니다.